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소셜 커머스
- 행복
- 벌랏한지마을
- 포스퀘어
- 무훈증밤
- 트위터
- 스마트폰
- 땅속의 과일
- 농촌혁신
- 강소농교육
- 스마트폰 활용
- 농촌교육
- 전자상거래
- 고객관리
- 소셜미디어
- 산꽃마을
- 체험마을
- 스마트스토어교육
- 인스타그램
- SNS
- 농촌체험
- 유기농밤
- 농촌체험마을
- 아이폰
- 공주효성농원
- 공주밤
- 아이폰 어플
- 농촌가치연구소
- 맛집
- 소셜 미디어
Archives
- Today
- Total
농촌가치연구소
농업인을 위한 e비즈니스, 전자상거래교육의 문제점 본문
농업인을 위한 e비즈니스, 전자상거래교육의 문제점
교육현장에서 들려오는 목소리는 다음과 같다.
1)일부 전문강사들의 강의는 모두 좋으나 너무 뜬구름(?) 잡는 이야기를 한다.
2)하루에 9시간정도 교육을 받는 경우는 너무 힘들다.
3)수준별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4)집에 가면 연습하기 어렵다.
대부분 교육이 이루어지는 시기가 농번기에 집중되는 경우가 많다.
이런 문제는 예산집행과정에서 수반되는 현상으로 충분히
조정가능한 부분이라고 본다.
너무 이론에 치중된 비현실적 교육보다 쉽고, 바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구성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교육종료후 지속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채널제공이 필요하다.
1회성 형태의 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 문제이다.
그리고 강의종료 후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강의만족도만 평가하기 보다는
해당 교육이 어느정도 수강생들에게
효율적으로 전달되었는지에 대한 성과측정에 대한 부분도 고려해야 할것이다.
매년 같은 수준에 같은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예산낭비는 물론 비효율적인 교육이 매년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육프로그램과 수강생들이 원하는 교육의 목적이
일치하는가?를 검토해야 할 것이다.
매년 동일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내용을 수강하게되어
교육의 비효율성 문제를 이야기하는 교육생들의 수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교육자들은 학습자들을 위해 같은 시선으로 같은 곳을
바라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전자상거래 교육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이미지 검색 기능 이용하기 (0) | 2011.08.14 |
---|---|
네이트, 싸이월드 비밀번호 유출확인 (0) | 2011.07.29 |
농업기술센터등에서 이루어지는 e비즈니스교육의 방향은... (0) | 2011.07.22 |
성공적인 농산물 쇼핑몰 운영전략 (0) | 2011.07.20 |
트위터는 인맥관리보다 소통의 공간으로 활용 (0) | 2011.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