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아이폰 어플
- 농촌체험마을
- 소셜 커머스
- 포스퀘어
- 농촌가치연구소
- 농촌교육
- 공주밤
- 트위터
- 공주효성농원
- 스마트폰 활용
- 소셜 미디어
- 체험마을
- SNS
- 전자상거래
- 유기농밤
- 행복
- 무훈증밤
- 농촌체험
- 아이폰
- 땅속의 과일
- 농촌혁신
- 스마트스토어교육
- 벌랏한지마을
- 소셜미디어
- 인스타그램
- 맛집
- 산꽃마을
- 강소농교육
- 스마트폰
- 고객관리
- Today
- Total
목록체험마을 (8)
농촌가치연구소
농촌체험마을도 품질경영에 노력을 기울여야. http://cafe.welchon.com/blog/s9365031/P460
체험마을 체험의 질 향상과 함께 서비스 품질도 함께 높여야. http://cafe.welchon.com/blog/s9365031/P450
유기농 농업을 하는 체험마을의 전략 http://cafe.welchon.com/blog/s9365031/P417
농촌체험마을의 성공전략 - 주민들의 참여 유도 농촌체험마을의 원활한 운영이 어려운 이유는 실무관계자들을 중심으로 모든 업무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문제점이다. 또한 매년 실무관계자들이 체험마을 운영을 위해 교육에 참여해야 하는 시간이 대략 90일도 된다는 것이다. 체험마을 운영에 집중..
농업기술센터등에서 이루어지는 e비즈니스교육의 방향은... 전국적으로, 농업기술센터 및 지자체에서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e비즈니스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문제는, 블로그교육, 사진편집 교육, 소셜 미디어 기초, 활용교육등에 치중되어 있다는 것이다.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보면, 이론중심 교..
우리 농촌체험마을을 적극적으로 알리자. 전국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체험마을이 수 없이 많지만 양극화 현상 또한 심각한 수준에 있다. 정부지원이 꾸준히 되는 마을에만 연차별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체험 마을들이 독자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고 있기 때문..
온라인 공간에 농사지을 곳은 어디? 주식을 한곳에 투자하면 대박? 주식을 여러곳에 투자하면 중박? 결정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하지만 인터넷 공간은 차원이 다르다. 많은 유저들이 다양한 채널을 통해 콘텐츠를 검색하고 접근하기 때문에 그들의 니즈를 적절히 파악하여 사이트를 운영하는 지혜가 ..